본행사 - 포럼
포럼: 미래를 아카이빙하다 Archiving the Future
공동주최/주관 : 한국예술종합학교 트랜스 : 아시아영상문화연구소, (사)춘천영화제
기획의도
춘천SF영화제와 한국예술종합학교 트랜스 : 아시아영상문화연구소는 영상의 새로운 시도와 변화하는 테크놀로지, 장르를 가로지르는 실험 등이 SF 장르로부터 영향을 받고, 또 영화 예술 전반에 자극이 되는 사례들을 전문가, 예술가, 이론과 들이 함께 논의하는 장을 펼친다.
행사 일시 | 2021년 9월 30일 목요일 PM 2시 - 5시 |
행사 장소 | 국립춘천박물관 강당 |
포럼 제목 | 미래를 아카이빙하다 Archiving the Future |
발표자 | 김울림 관장(국립춘천박물관) 김소영 교수(한국예술종합학교) 김아영 작가 겸 감독 <다공성 계곡 1: 트릭스터 플롯> 김종민 프로그래머(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) 김대희 프로듀서(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) |
사회자 | 이안 운영위원장(춘천SF영화제) |
토론자 | 이안 운영위원장(춘천SF영화제) |
1부 Art Practice and Archiving The Future
- 김울림 관장(국립춘천박물관) : 국립박물관 실감 콘텐츠 사업 – 공공향유형 스마트박물관을 조성해 관람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박물관 콘텐츠를 체험하게 하는 영상 활용 사례
- 김소영 교수(한국예술종합학교) : SFiverse (사이파이버스: 아나객잔- 아시아문화원 미디어 월 작품)
- 김아영 감독 : ‘다공성 계곡 2: 트릭스터 플롯’ 사례 발표
2부 Inquiry into the Media Industry
- 김종민 프로그래머(BIFAN) : 가상공간으로 확장되는 영화제 경험
- 김대희 프로듀서(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) : 인터랙티브 드라마의 가능성 – 서사학과의 접점
3부 전체 토론
시간 | 발표 내용 | 발표자 | |
14:00~14:05 | 포럼 개막 인사 및 진행 안내 | 사회: 이안 운영위원장 (춘천SF영화제) |
|
14:05~14:10 | 춘천영화제 주진형 이사장님 개회사 | ||
14:10~15:10 | 1부 Art Practice and Archiving The Future | 국립박물관 실감 콘텐츠 사업 – 공공향유형 스마트박물관을 조성해 관람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박물관 콘텐츠를 체험하게 하는 영상 활용 사례 | 김울림 관장 (국립춘천박물관) |
‘다공성 계곡 2: 트릭스터 플롯’ 사례 발표 | 김아영 감독/작가 | ||
SFiverse (사이파이버스: 아나객잔 - 아시아문화원 미디어 월 작품) | 김소영 교수 (한국예술종합학교) |
||
15:10~15:20 | 휴식 시간 | ||
15:20~16:00 | 2부 Inquiry into The Media Industry | 가상공간으로 확장되는 영화제 경험 | 김종민 프로그래머 (BIFAN) |
인터랙티브 드라마의 가능성 - 서사학과의 접점 | 김대희 프로듀서 (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) |
||
16:00~16:10 | 휴식 시간 | ||
16:10~17:00 | 전체 토론 | 토론: 이안 운영위원장 (춘천SF영화제) |